얼마 전 집 인터넷과 TV 서비스 업체를 바꿨더니 음성인식 인공지능(AI) 셋톱박스를 설치해 줬다. 리모컨으로 채널을 이리저리 돌리지 않고 AI에게 원하는 채널이나 프로그램 이름을 말하면 음성을 인식해 명령을 이행한다.
어느새 소파에 앉으면 “○○야, TV 좀 켜줘”라며 AI를 ‘부리는’ 데 익숙해졌다. 리모컨 버튼을 누르는 게 훨씬 빠른데도 굳이 AI를 부른다. 손가락 움직이는 것조차 귀찮으면 어떻게 숨은 쉬느냐는 타박도 흘려버린다.
그래도 아직은 리모컨이 더 편리하다. AI 스피커가 명령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잦기 때문이다. 사람들끼리 대화하는 와중에 자기 이름과 비슷하거나, TV 속 대사 중에 비슷한 발음만 나와도 찾았느냐고 묻는다. 두 개 이상의 명령에는 제대로 반응하지 못해 답답할 때가 많다. 지금은 이래도 머지않아 AI가 가족 구성원에 따라 요일별 시간대별로 즐겨 보는 프로그램을 검색해 제공하고 추천해 줄 날이 오지 않을까. 리모컨이 사라지는 날. 편리해지긴 하겠지만 어딘지 모르게 찜찜하다. 이 기분은 뭘까.
kmkim@seoul.co.kr
어느새 소파에 앉으면 “○○야, TV 좀 켜줘”라며 AI를 ‘부리는’ 데 익숙해졌다. 리모컨 버튼을 누르는 게 훨씬 빠른데도 굳이 AI를 부른다. 손가락 움직이는 것조차 귀찮으면 어떻게 숨은 쉬느냐는 타박도 흘려버린다.
그래도 아직은 리모컨이 더 편리하다. AI 스피커가 명령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잦기 때문이다. 사람들끼리 대화하는 와중에 자기 이름과 비슷하거나, TV 속 대사 중에 비슷한 발음만 나와도 찾았느냐고 묻는다. 두 개 이상의 명령에는 제대로 반응하지 못해 답답할 때가 많다. 지금은 이래도 머지않아 AI가 가족 구성원에 따라 요일별 시간대별로 즐겨 보는 프로그램을 검색해 제공하고 추천해 줄 날이 오지 않을까. 리모컨이 사라지는 날. 편리해지긴 하겠지만 어딘지 모르게 찜찜하다. 이 기분은 뭘까.
kmkim@seoul.co.kr
2018-02-08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