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동현 경희대 후마니타스 칼리지 교수
“지금 저의 모든 친구들 그리고 대한민국 모든 학생들은 우리나라 민주주의를 위하여 피를 흘립니다. 저는 아직 철없는 줄 압니다. 그러나 국가와 민족을 위하는 길이 어떻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저와 모든 학우들은 죽음을 각오하고 나간 것입니다. 저는 생명을 바쳐 싸우려고 합니다. 죽어도 원이 없습니다. 온 겨레의 앞날과 민족의 해방을 위하여 기뻐해 주세요. 이미 저의 마음은 거리에 나가 있습니다.”(경향신문 60년 4월 30일자) 1960년 4월 19일 한성여중 2학년 진영숙은 민주주의를 위한 제단에 한 송이 꽃으로 졌다.
“강산은 좋은데/이쁜 다리들은/털 난 딸라들이/다 자셔놔서 없다.”(신동엽, ‘발’1966) 1960년대 군사독재에 맞서 반외세·민족자주를 꿈꾼 저항시인 신동엽은 “털 난 딸라”들에게 몸을 파는 이 땅의 여성들에게서 민족의 종속을 보았다. “역사의 그늘을 뜨개질하며” 희망의 “그날”이 오길 바란 시인도 한 시대의 지배적 정신에서 자유로울 수 없었다. 민족이란 거대 담론에 함몰된 시인의 눈에 여성은 종속적인 존재로 비칠 뿐이었다. “제국주의 성기가/누이들의 속살 팍팍 헤집는 신음이/황홀한 창으로 나와 호수에 빠지는 불빛 보며/호변 가로등 밑을/다리 이쁜 여자와 서정시로 껌 씹으며 걸어가다/이 여자(장차 내 마누라가 될 여자)를/당당한 중진국 애국 지식인 양심으로서/외화수입을 위해 옷 벗겨 관광기생으로/나라에 바쳐볼까 하지만/글쎄/그럴 때마다 이화여자대학교 총학생회에서/지역 어느 대학 남자 총학생회장에게 보냈다던/썩은 고구마(어떤 놈은 고추 또는 쏘세지라고도 한다)와 면도칼(어떤 놈은 가위라고도 하고)을 생각하며/섬뜩섬뜩 가운데 다리를 움켜쥔다/누이들의 몸값으로/GNP 계산하는 나라에/세 개의 다리로 서 있는/불쌍한 나여/내 나라의 여자도 못 지키는.”(공광규, ‘대학일기4’, 1987) 반독재·반외세 투쟁의 구호가 거리에 울려 퍼지던 1980년대에도 여성들은 국가가 외화 수입을 위해 “제국주의 성기”들의 성 노리개로 팔 수 있는 종속물이었다. 자신의 위축된 남성성을 자조하며 시대의 아픔을 풍자한 시인도 여전히 마초의 시각을 버리지 못했다.
4·19혁명 때도, 신군부의 독재에 맞선 1980년대의 민주화 운동 때도 여성들은 시민으로서의 의무를 다했다. 그러나 최근 “비키니 시위”를 둘러싼 “삼국(쌍화차 코코아·소울드레서·화장∼발)카페”와 “미권스(정봉주와 미래 권력들)”의 공방을 보노라면, 다원화된 풀뿌리 시민사회를 사는 오늘도 남녀동권·양성평등 사회는 아직 도래하지 않은, 여전히 소망하는 꿈에 지나지 않는다. “사건의 본질은 ‘비키니’를 통한 시위형식이나 표현의 자유에 관한 것이 아니다. 우리는 문제의 본질을 ‘가슴사진 대박, 코피 조심’이라는 말에서 드러난 여성관의 한계라고 판단한다. ‘코피’ 발언은 그들이 남성 위주의 사회적 시선으로 여성을 바라보며, 여성을 성적 즐거움을 가져다 주는 한낱 눈요깃거리로 삼고 남성의 정치적 활동의 사기 진작을 위한 대상 정도로 전락시킨 것이다.”(‘삼국카페 공동선언문’ 2012. 2.6) “우리의 딸들이 이런 일들을 또 겪게 할 수 없다.”는 작지만 큰 외침에 귀를 막기 어렵다.
2012-02-10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