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경제는 어렵다는데 명품시장은 호황이란다. 덩달아 백화점이나 면세점의 명품 수입도 불경기를 모른다고 한다. 보도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외국에서 수입한 명품 판매율은 매년 30% 이상씩 늘어나고 있다. 국내 명품시장 규모만도 5조원이 넘는다. 덤으로 우리나라가 세계 4대 명품시장으로 부상했다는 소식도 들린다. 가히 명품시대라 할 만하다. 이 명품시대에 가슴 밑바닥으로부터 저며 오는 생각이 있다. 명품인생이란 무엇일까? 어떻게 살고, 무엇을 하며 사는 것이 명품인생일까?
하도 복잡다기한 세상인지라 하나의 정답을 찾기가 어렵다. 하도 상대주의가 만연한 세상이라 바로 이것이라고 말하기도 쉽지 않다. 그러나 명품을 사고 또 이를 얻기 위해 분주한 명품족이 명품인생의 전형이 될 수는 없다. 흔히 가격이 오르는데도 과시욕이나 허영심 등으로 인해 수요가 줄어들지 않고 오히려 증가하는 현상을 베블런효과(veblen effect)라고 한다. 다른 말로 하면 속물효과 또는 속물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계층 간의 양극화가 날로 커져 가는데 사회 지도층부터 일반 학생들에 이르기까지 명품 열기에 젖어든다면 그게 바로 속물현상이 아닐까. 도덕군자인 양 훈계할 생각은 없지만 이건 아닌 것 같다.
사전적으로 말하면 명품(名品)은 뛰어나거나 이름난 물건 또는 작품 정도로 이해된다. 한편으론 이름뿐이거나 허울 좋은 물건 혹은 작품이란 의미도 있을 수 있겠다. 어찌 보면 최근에는 후자의 의미가 더 적격일 것 같다면 지나친 편견일까. 언제부턴가 우리사회는 제자리에서 분수를 지키며 사는 것을 촌스럽게 여기고 남을 따라하거나 과시하려는 풍조가 만연해지고 있다. 어린 학생들조차 명품 옷을 입어야만 한다. 하다 못해 짝퉁이라도 걸쳐야 외출을 할 수 있다. 너도나도 대학을 가야만 한다. 그것도 일류대학병에 젖어 온 나라가 사교육과 스펙 쌓기에 정신이 없다. 학업에 매진해야 할 학생에서부터 가정주부들에 이르기까지 온갖 패션과 외모 치장이 주관심사가 되었다. 방송은 밤낮없이 연예인들의 차지가 되었다. 동네 뒷산 오르는 데도 값비싼 등산복을 입어야 사람 대접 받는다. 성능 좋은 국산 승용차가 외국에서는 호평을 받건만 분수에 맞지 않게 외제차를 거들먹거리며 타고 다니는 사람들도 많다. 너도나도 특급호텔에서 화려한 결혼식을 올린다. 어찌 이뿐이겠는가.
자본주의 사회에서 내가 원하는 것 누리고 사는데 웬 참견이냐고 타박할 수도 있다. 성공에 대한 성취 의지를 폄하하느냐고 오히려 꾸중하는 사람도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정말 이런다고 인생이 더 행복해지는 걸까. 최근 갤럽 조사에 따르면 40여년 전에 비해 국민 소득은 200배 이상 올랐지만 행복도는 갈수록 낮아지고 있다. 공허한 자아를 허망한 것으로 채우기 위해 분주한 우리네 모습이 마치 기약도 없이 바위를 굴리고 또 굴리는 시시포스의 모습과 다르지 않다면 나만의 기우일까.
국민소득 2만 달러 시대를 사는 지금, 나보다는 이웃과 사회를 돌아보고 내실 있는 삶을 찾는 문화가 속 빈 명품문화 대신 널리 퍼졌으면 좋겠다. 멀리서 찾을 것 없이 주변에서 쉬운 것부터 시작해 보면 어떨까. 자주 이용하는 지하철에서 혼잡할 때 무리해서 타지 않기, 먼저 내리고 나중에 타기 등 이른바 지하철 10대 에티켓만 잘 지켜도 사회는 좋아질 것이다. 전화 친절하게 받기, 빨간 불일 때 서고 녹색 불일 때 가기, 엘리베이터에서 만나면 목례나 미소 짓기 등 정말 쉬운 일 같지만 지켜지지 않는 일들이 주변에 헤아릴 수 없이 많다.
여기서 조금 더 나아가 내 시간과 에너지와 돈을 주변과 사회를 위해 쓴다면 더할 나위 없는 일이 될 것이다. 아직도 우리 주변엔 도움을 필요로 하는 사람들이 수두룩하다. 내 것을 채우기에 급급하다 보니 보지 못할 뿐이다. 아니 보지 않으려 할 뿐이다. 우리가 조금만 생각을 바꾸면 예수의 말씀처럼 내 이웃을 내 몸과 같이 온전히 사랑하지는 못할지라도 선한 사마리아인처럼 좋은 이웃이 될 수는 있을 것이다. 명품인생에 대한 생각은 사람마다 다를 수 있다. 하지만 내 것만 챙기지 않고 이웃과 사회를 배려하는 소박한 삶이 명품인생이 아닐까.
박양우 중앙대 예술대학원교수
사전적으로 말하면 명품(名品)은 뛰어나거나 이름난 물건 또는 작품 정도로 이해된다. 한편으론 이름뿐이거나 허울 좋은 물건 혹은 작품이란 의미도 있을 수 있겠다. 어찌 보면 최근에는 후자의 의미가 더 적격일 것 같다면 지나친 편견일까. 언제부턴가 우리사회는 제자리에서 분수를 지키며 사는 것을 촌스럽게 여기고 남을 따라하거나 과시하려는 풍조가 만연해지고 있다. 어린 학생들조차 명품 옷을 입어야만 한다. 하다 못해 짝퉁이라도 걸쳐야 외출을 할 수 있다. 너도나도 대학을 가야만 한다. 그것도 일류대학병에 젖어 온 나라가 사교육과 스펙 쌓기에 정신이 없다. 학업에 매진해야 할 학생에서부터 가정주부들에 이르기까지 온갖 패션과 외모 치장이 주관심사가 되었다. 방송은 밤낮없이 연예인들의 차지가 되었다. 동네 뒷산 오르는 데도 값비싼 등산복을 입어야 사람 대접 받는다. 성능 좋은 국산 승용차가 외국에서는 호평을 받건만 분수에 맞지 않게 외제차를 거들먹거리며 타고 다니는 사람들도 많다. 너도나도 특급호텔에서 화려한 결혼식을 올린다. 어찌 이뿐이겠는가.
자본주의 사회에서 내가 원하는 것 누리고 사는데 웬 참견이냐고 타박할 수도 있다. 성공에 대한 성취 의지를 폄하하느냐고 오히려 꾸중하는 사람도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정말 이런다고 인생이 더 행복해지는 걸까. 최근 갤럽 조사에 따르면 40여년 전에 비해 국민 소득은 200배 이상 올랐지만 행복도는 갈수록 낮아지고 있다. 공허한 자아를 허망한 것으로 채우기 위해 분주한 우리네 모습이 마치 기약도 없이 바위를 굴리고 또 굴리는 시시포스의 모습과 다르지 않다면 나만의 기우일까.
국민소득 2만 달러 시대를 사는 지금, 나보다는 이웃과 사회를 돌아보고 내실 있는 삶을 찾는 문화가 속 빈 명품문화 대신 널리 퍼졌으면 좋겠다. 멀리서 찾을 것 없이 주변에서 쉬운 것부터 시작해 보면 어떨까. 자주 이용하는 지하철에서 혼잡할 때 무리해서 타지 않기, 먼저 내리고 나중에 타기 등 이른바 지하철 10대 에티켓만 잘 지켜도 사회는 좋아질 것이다. 전화 친절하게 받기, 빨간 불일 때 서고 녹색 불일 때 가기, 엘리베이터에서 만나면 목례나 미소 짓기 등 정말 쉬운 일 같지만 지켜지지 않는 일들이 주변에 헤아릴 수 없이 많다.
여기서 조금 더 나아가 내 시간과 에너지와 돈을 주변과 사회를 위해 쓴다면 더할 나위 없는 일이 될 것이다. 아직도 우리 주변엔 도움을 필요로 하는 사람들이 수두룩하다. 내 것을 채우기에 급급하다 보니 보지 못할 뿐이다. 아니 보지 않으려 할 뿐이다. 우리가 조금만 생각을 바꾸면 예수의 말씀처럼 내 이웃을 내 몸과 같이 온전히 사랑하지는 못할지라도 선한 사마리아인처럼 좋은 이웃이 될 수는 있을 것이다. 명품인생에 대한 생각은 사람마다 다를 수 있다. 하지만 내 것만 챙기지 않고 이웃과 사회를 배려하는 소박한 삶이 명품인생이 아닐까.
2012-03-09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