며칠 전 대학생 50여명에게 물었다. 지금까지 국악 공연장에 한 번 이상 가 본 사람은 손들어 보라고 했다. 단 한명이었다. 방송에서 국악을 보거나 들어 본 적이 있는지를 물었더니 서너명이 손을 들었다. 우리 전통음악을 잘 듣지 않는 이유에 대해서는 이구동성으로 “재미가 없다.”는 반응이다. 초등학교 때부터 우리 전통악기 한두개쯤 만져 본 적이 있다는 젊은 대학생들이 국악을 경험하고 대하는 현주소다.
한때 ‘한국적인 것이 세계적’이라는 구호를 여기저기서 내걸었다. 우리 것은 무조건 최고라는 자민족중심주의는 문제지만, 그동안 간과해 왔던 소중한 자산을 되찾자는 그 정신은 높이 평가할 일이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인지는 몰라도 우리 것을 갖고 세계의 문을 두드려 성공을 거둔 분야가 점차 늘고 있다. 1990년대 중반부터 드라마와 영화를 비롯해 문화 콘텐츠가 ‘한류’라는 이름으로 세계 각지에서 호평받는 것이 단적인 사례다. 세계적으로 두각을 나타내는 우리 문화 콘텐츠를 보면 공통점을 발견할 수 있다. 무엇보다 국내에서 많은 국민들이 관심을 갖고 사랑해 준 분야들이다. 미디어에서 비중있게 다루어 준 것도 유사하다. 그렇다면 우리의 전통과 혼이 담겨 있는 국악은 왜 대중들의 관심권 밖에 머물러 있을까.
국악계 내부의 목소리부터 들어 보자. 칠순의 명창 신영희씨가 얼마 전 인터뷰에서 언급한 경험담은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한다. 20여년 전 코미디 프로그램 ‘쓰리랑 부부’에 출연해 북치며 노래하는 소리꾼역을 했던 것을 두고 하는 이야기이다. 자신은 국악의 대중화라고 생각해 시도했지만, 당시 많은 국악인들과 정부 당국에서는 국악의 ‘격’을 떨어뜨리는 행위로 못마땅하게 여겼다는 것이다. 이러한 일은 여전히 현재진행형이다. 얼마 전 만난 소리꾼 김성태의 고백은 더욱 진솔하다. 강원도 양양 해변가의 항구에서 소리 카페를 운영하는 그는 “이곳을 사랑해 주시는 분들도 많지만, 음식과 차와 함께 소리를 한다는 것에 대해 못마땅해하는 소리꾼들도 많습니다. 참 어렵지요.”
국악이 국민들의 사랑을 받지 못하는 것이 국악인들만의 책임일까. ‘한국인의 중심 채널’이라는 공영방송 KBS는 클래식 방송인 1FM에서 1시간짜리 국악 프로그램을 매일 세 차례 방송하고 있다. 그러나 TV는 1TV에서 토요일 낮 12시대에 50분짜리 고정 프로그램 하나를 달랑 편성하고 있다. 국민들이 즐겨 보는 TV에서의 국악 편성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것도 문제지만, 방송시간대를 보면 구색맞추기라는 인상을 지울 수 없다. ‘국악방송’이 따로 있기는 하지만 아는 사람들이 많지 않다. 소비자인 국민 입장에서 보더라도 국악 공연을 관람하기가 쉽지 않다. 국립국악관현악단, 국립창극단 등 국악단체가 있고, 국립극장을 비롯해 지방자치단체 등에서 운영하는 많은 공연장들이 있지만 서양 음악 공연에 비해 우리 전통음악 공연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부족한 실정이다.
그렇다면 국악을 어떻게 우리의 간판 문화콘텐츠 중 하나로 만들어 세계무대로 진출시킬 수 있을까. 무엇보다 국악인들의 발상의 전환이 필요하다. 젊은 국악인들을 중심으로 새로운 변화가 시도되고 있지만, 국악이 재미있고 감동적이며, 우리의 삶을 따뜻하게 해 주는 음악이라는 인식을 국민들이 가질 수 있도록 국악계 스스로가 혁신해야 한다. 스타 국악인들을 배출하는 것도 파급효과가 큰 접근방법 중 하나일 것이다.
국민들이 우리 전통 음악을 아끼고 사랑할 수 있도록 매스 미디어가 보다 많은 관심을 갖는 것도 절실하다. 적어도 지상파방송에서는 국악의 대중화를 위한 다양한 포맷의 프로그램을 지금보다 획기적으로 늘려야 한다. 발상을 전환하면 우리 음악을 갖고도 얼마든지 대중의 호응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국가의 다각적인 진흥책은 그 중요성을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소비자인 국민이 국악을 보고 듣고 싶을 때 언제 어느 곳에서도 손쉽게 접할 수 있도록 소비자 중심으로 공연장과 공연 프로그램을 대폭 늘려나가야 한다. 아직 돈 버는 일이 아니기 때문에 공공분야의 소임이 더욱 막중하다. 어렵다고 생각하면 어떤 일도 안 되지만, 모든 게 다 생각하기 나름이다.
유재웅 을지대 홍보디자인학 교수
국악계 내부의 목소리부터 들어 보자. 칠순의 명창 신영희씨가 얼마 전 인터뷰에서 언급한 경험담은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한다. 20여년 전 코미디 프로그램 ‘쓰리랑 부부’에 출연해 북치며 노래하는 소리꾼역을 했던 것을 두고 하는 이야기이다. 자신은 국악의 대중화라고 생각해 시도했지만, 당시 많은 국악인들과 정부 당국에서는 국악의 ‘격’을 떨어뜨리는 행위로 못마땅하게 여겼다는 것이다. 이러한 일은 여전히 현재진행형이다. 얼마 전 만난 소리꾼 김성태의 고백은 더욱 진솔하다. 강원도 양양 해변가의 항구에서 소리 카페를 운영하는 그는 “이곳을 사랑해 주시는 분들도 많지만, 음식과 차와 함께 소리를 한다는 것에 대해 못마땅해하는 소리꾼들도 많습니다. 참 어렵지요.”
국악이 국민들의 사랑을 받지 못하는 것이 국악인들만의 책임일까. ‘한국인의 중심 채널’이라는 공영방송 KBS는 클래식 방송인 1FM에서 1시간짜리 국악 프로그램을 매일 세 차례 방송하고 있다. 그러나 TV는 1TV에서 토요일 낮 12시대에 50분짜리 고정 프로그램 하나를 달랑 편성하고 있다. 국민들이 즐겨 보는 TV에서의 국악 편성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것도 문제지만, 방송시간대를 보면 구색맞추기라는 인상을 지울 수 없다. ‘국악방송’이 따로 있기는 하지만 아는 사람들이 많지 않다. 소비자인 국민 입장에서 보더라도 국악 공연을 관람하기가 쉽지 않다. 국립국악관현악단, 국립창극단 등 국악단체가 있고, 국립극장을 비롯해 지방자치단체 등에서 운영하는 많은 공연장들이 있지만 서양 음악 공연에 비해 우리 전통음악 공연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부족한 실정이다.
그렇다면 국악을 어떻게 우리의 간판 문화콘텐츠 중 하나로 만들어 세계무대로 진출시킬 수 있을까. 무엇보다 국악인들의 발상의 전환이 필요하다. 젊은 국악인들을 중심으로 새로운 변화가 시도되고 있지만, 국악이 재미있고 감동적이며, 우리의 삶을 따뜻하게 해 주는 음악이라는 인식을 국민들이 가질 수 있도록 국악계 스스로가 혁신해야 한다. 스타 국악인들을 배출하는 것도 파급효과가 큰 접근방법 중 하나일 것이다.
국민들이 우리 전통 음악을 아끼고 사랑할 수 있도록 매스 미디어가 보다 많은 관심을 갖는 것도 절실하다. 적어도 지상파방송에서는 국악의 대중화를 위한 다양한 포맷의 프로그램을 지금보다 획기적으로 늘려야 한다. 발상을 전환하면 우리 음악을 갖고도 얼마든지 대중의 호응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국가의 다각적인 진흥책은 그 중요성을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소비자인 국민이 국악을 보고 듣고 싶을 때 언제 어느 곳에서도 손쉽게 접할 수 있도록 소비자 중심으로 공연장과 공연 프로그램을 대폭 늘려나가야 한다. 아직 돈 버는 일이 아니기 때문에 공공분야의 소임이 더욱 막중하다. 어렵다고 생각하면 어떤 일도 안 되지만, 모든 게 다 생각하기 나름이다.
2012-05-21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