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초등학교 안에 ‘K학년’ 편제, 프랑스-1880년대부터 유아공교육
생애 초기인 영·유아기는 개인의 최종 지능의 80%가 발달하는 등 지적발달의 결정적인 시기다.미국에서 2003년 진행된 페리 프리스쿨 프로젝트에 따르면 유아교육에 1달러를 투자하면 16.14달러의 편익이 발생한다.
또 유아교육기관 경험이 없는 학생들은 중학교 수학·영어 과목에서 각각 8.39점(100점 만점 기준), 11.66점 낮은 성취도를 보였다는 한국교육개발원의 연구결과도 있다.
이 때문에 대부분의 선진국은 유아교육비의 공공부담 비율을 80%까지 확대하고 취학 직전 1년의 교육에 대해 엄격히 관리하는 등 유아교육을 공교육 체제에 적극적으로 편입하고 있다. 2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유아교육비의 공공부담 비율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 79.7%(2007년 기준)로 프랑스가 94.0%, 핀란드 90.6%, 미국 77.8% 등이다. 반면 한국은 49.7% 수준에 불과하다.
정부가 도입하는 만 5세 공통과정은 내용적으로는 미국의 ‘K(kindergarten)학년제’와 유사하다.
미국은 각 주마다 학제가 통일돼 있지 않지만 만 5세 유아교육은 만3~4세와 분리해 별도로 초등학교 내에 편제해 운영한다. 만 3~4세는 프리킨더가튼(Prekindergarten)에서 교육을 받고 이들보다 한살 많은 만 5세는 ‘K학년’으로 구분된다.
K학년제는 의무교육은 아니지만 공교육체제로 무상으로 운영한다. 하지만 유아교육이 형식적이고 주입식 교육으로 변질됐고 교육의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을 받아 만 3~5세 간 유아교육을 연계해야 한다는 지적이 미국 내에서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프랑스는 1880년대부터 공교육 체제에서 유아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만 5세 취원율이 100% 수준이고 유아기 교육과정과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주기적으로 연계하고 있다.
일본도 2006년부터 어린이집과 유치원을 ‘인정어린이원’으로 통합해 교육과 보육을 동시에 제공하고 있다. 또 중국도 지난해 국가 미래인재정책에 따라 취학전 어린이의 교육강화 정책을 발표했다.
안석기자 ccto@seoul.co.kr
2011-05-03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