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진핑 ‘디댜오’·보시라이 ‘튀는 개성’ 때문?
2002년 10월. 보시라이(薄熙來) 충칭(重慶)시 서기는 중국 공산당 제16차 전국대표대회에서 중앙위원 입성에 성공했다. 그러나 모두가 퇴장하고 빈 대회장에 남은 그의 아버지 보이보(薄一波) 전 공산당 고문위원회 부주임은 자신의 뺨을 때리며 강도 높은 자기비판에 나섰다. 장쩌민(江澤民) 당시 국가주석 등 일부 최고위층만이 이 광경을 관중석에서 지켜봤다.미국 미·중·일정책연구소 양쭝메이(楊中美) 연구원이 저서 ‘중국의 정변’에서 소개한 보이보의 ‘아들 사랑 헌신기’다. 당시 보이보는 자신과 장 주석의 구원으로 아들의 출셋길이 막혔다고 생각하고 중앙위 명단 발표 직전 쩡칭훙(曾慶紅) 국가 부주석을 찾아가 장 주석에게 대신 잘못을 빌었고, 장 주석이 이에 화답한 데 대한 감사의 뜻으로 눈물겨운 자아비판을 했다는 것이다.
보 서기와 시진핑(習近平) 국가 부주석이 걸어온 길은 언뜻 보면 비슷해 보인다. 태자당(중국 공산당 고위 간부의 자제를 일컫는 말) 출신으로 중앙에서 일을 시작했으나 자진해 기층으로 내려가 현급 당 부서기로 다시 출발했고, 이후 정치 거물로 성장했다. 각각 결혼에 한 번씩 실패하고 미모의 부인을 두고 있으며 자녀가 미국 최고 명문인 하버드대에 다니고 있는 점도 비슷하다.
반면 그들의 정치 밑천인 아버지에 대한 평가에서부터 본인들에 대한 여론은 상반된다. 시 부주석은 재능은 있되 이를 드러내지 않고 조심스럽게 행동하는 일명 ‘디댜오’(低調)형으로 통한다.
아버지 시중쉰(習仲勳) 전 부주석은 개혁개방의 1번지로 통하는 선전(深?)을 경제특구화하자고 처음 덩샤오핑(鄧小平) 당 군사위 주석에게 제안한 개혁파다. 후야오방(胡耀邦) 전 당 총서기가 당시 일인자이던 덩샤오핑에게 정치개혁을 촉구하며 도전했을 때에도 후야오방 편에서 중국의 개혁을 위해 저항했다. 후야오방과 상의해 시 부주석을 기층으로 내려보냈다는 것 이외에 아들의 성공을 위해 움직였다는 기록도 찾기 어렵다.
반면 보이보는 아들의 출세를 위해 열심히 뛰었다는 게 양 연구원의 평가다. 보이보는 덩샤오핑에게 1989년 민주화를 요구하던 톈안먼 시위대를 진압하자고 제안한 반민주계 인물로도 기록된다.
보 서기가 내세울 만한 업적과 정치인으로서의 매력을 갖췄음에도 부정적인 평가를 받는 것은 튀는 개성과 강한 성품이라는 시각이 많다. 1989년 다롄(大連) 당 부서기로 출발해 2000년 말까지 다롄 시장을 맡는 동안 다롄 국내총생산(GDP)은 271억 위안(1992년)에서 1003억 위안(1999년)으로 껑충 뛰었다. 랴오닝 성장으로 부임한 뒤에는 여러 나라로부터 투자도 끌어냈다. 이 같은 성과에도 불구하고 “농촌을 아프리카처럼 만들어 놨다.”는 혹평이 꼬리표처럼 따라다닌다. 주변과 화합하지 못하는 성격 탓에 당시 다롄 시장 등 지역 토호 세력들과 마찰을 빚으면서 부정적인 여론이 주를 이뤘다. 언변이 뛰어나고 자기 선전에 강했던 것이 긍정적으로 평가되기보다 야심이 크고 권모술수에 능하다는 쪽으로 해석되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시 부주석은 성공적인 미국 방문과 함께 대권 가도에도 거칠 게 없다는 평이다. 보 서기의 경우 ‘왕리쥔 사건’으로 곤욕을 치르며 지도부 입성에 빨간불이 켜졌다. 다만 그가 태자당이고 중국 지도층이 자신들의 명예를 지키려 한다는 점에서 완전히 ‘낙마’하기보다는 중앙위원으로 남거나 실권이 없는 중앙상임위원(전대 위원장, 정협 부주석)이 될 수도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베이징 주현진특파원 jhj@seoul.co.kr
2012-02-21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