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변 심폐소생술 도움 받기 힘들어”
유동인구가 많은 공공장소에서 심정지가 발생할 경우 여성이 남성보다 심폐소생술(CPR)을 받기 더 어렵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뉴스1
18일(한국시간) 캐나다 몬트리올 심장연구소 실비 코셋 박사와 사크레쾨르 병원 알렉시스 쿠르노이어 박사로 이뤄진 연구팀은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유럽 응급의학회(EUSEM) 학술대회에서 이 같은 내용의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심폐소생술은 심정지나 심장마비와 같은 응급상황에서 심박동 및 호흡을 되살리기 위해 실시한다. 이는 심장과 폐 기능을 최대한 유지하며 심장 박동 및 호흡을 되살리는 응급처치법이다.
심폐소생술은 호흡 중단으로 인한 산소 공급 부족으로 손상될 수 있는 심장과 뇌를 보호하고 생존 가능성을 높이기 때문에 응급상황에서 삶과 죽음을 가르는 중요한 요소다.
하지만 의식 확인에서 인공호흡까지 올바르고 적절한 심폐소생술 기술 및 방법으로 시행해야 효과를 볼 수 있다.
최근 5년간 우리나라에서 119구급대가 살린 심정지 소생자는 총 5825명이다. 지난 한 해에만 1169명이 신속한 응급처치로 소중한 생명을 되찾았다. 그만큼 심폐소생술은 소중한 생명을 살리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공공장소에서 심정지가 발생할 경우 주변 사람들이 여성 환자에게 심폐소생술(CPR)을 할 가능성이 남성 환자에 비해 낮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연합뉴스
연구팀이 2005~2015년 사이 캐나다와 미국 병원 밖에서 일어난 심정지 사례 3만 9391건(평균 연령 67세)을 대상으로 응급 상황 발생 장소와 CPR 시행 여부, 환자 나이와 성별 등을 분석한 결과다.
공공장소를 포함한 모든 장소로 확대해도 여성이 심폐소생술을 받을 확률은 52%로 남성 55%보다 낮았다.
이 같은 결과에 대해 쿠르노이어 박사는 “사람들은 여성을 다치게 하거나 만지는 것에 대해 걱정하거나 여성이 심장마비를 겪을 가능성이 낮다고 생각할 수 있다”고 추측했다.
여성 신체를 잘못 만질 경우 자칫 성추행범으로 몰릴 가능성도 완전하게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코셋 박사는 “우리는 이런 차이 뒤에 무엇이 있는지 이해하기 위해 이 문제를 더 자세히 연구하고 싶다”고 말했다.
초록위원회 의장인 프랑스 생앙투안 병원 유리 요르다노프 교수는 “이 연구는 심정지를 겪는 모든 환자가 심폐소생술을 받지 못하는 이유에 대한 몇 가지 단서를 제공한다”며 “심정지는 언제 어디서든 발생할 수 있으므로 모두가 심폐소생술을 배우고 주저 없이 시행할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