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0년에 처음 떠나 5년 동안은 일년의 절반을, 그 뒤 5년은 내내 차에서 먹고 자며 머물렀다. 관절염과 천식, 습진을 얻었다. 10년 전 빈집을 하나 얻어 늪가에 누웠다. 그리고 이제 이웃 마을로 옮겨와 정봉채 갤러리를 열고 우포 늪 찍고 텃밭 돌보는 일로 하루를 삼고 있다.
서문을 펼치면서부터 참 글을 잘 쓴다는 느낌을 받았다. 사진작가에겐 대단히 실례되는 말인데, 사진보다 글이 먼저 마음에 다가왔다.
억겁의 세월을 품은 늪의 매혹을 그는 책 제목 ‘지독한 끌림’(다빈치 2만 5000원)에 농축했다. 공간의 면면과 그걸 담아내는 카메라, 그 뒤에 정봉채 작가가 체험한 늪의 시간이 여섯 주제로 나눠 담겼다. 1장은 안개, 2장은 맑음, 3장은 바람, 4장은 비와 눈, 5장은 어린 시절 어머니가 수놓은 무명 천에서 살아나온 새, 6장은 우포의 하루다. 장마다 뒤에 시 같은 산문이 실려 있다. 풍토병, 해바라기와 방울새, 나의 첫 카메라, 고라니, 어머니의 횟댓보, 나의 집이다.
책 여기저기 흩어진 문장을 한 데 모으면 훨씬 이 책을 집어들 이유를 잘 설명할 수 있을 것 같다.
매료됐다는 말로는 설명이 되지 않는 묘한 느낌.
그리고 잊힌 꿈처럼 우포를 만났다.
잠시 머물다 가는 손님으로는 우포의 심연에 다다를 수 없었다.
어느날 우포의 표정에 내 입김이 녹아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정화의 의미를 찾아 우포로 왔다. 자연의 메타포는 인간의 지적 소산보다 강렬하다.
시간은 모든 것을 삼키고 지나가는 것이 아니라 순환하게 한다. 때가 되면 나도 가벼워질 것이다. 때가 되면 무르익은 내 자리를 푸릇한 너에게 내어줘야 한다.
우포에서 나는 시간의 변화를 온몸으로 감지하며 공간이 시간을 호흡한다는 것을 깨달았다.
사진가와 피사체의 관계는 때로 폭력적이다. 생태계의 먹이사슬처럼 포획하고 포획당하는 관계에 놓이기 시작했다.
내가 문득 좋은 사진을 찍게 된다면 나는 그것을 신의 선물이라고 생각할 것이다. 이렇게 불쌍하게, 열심히 찍고 있는 나를 어여쁘게 여긴 신이 주신 선물.”
임병선 평화연구소 사무국장 bsnim@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