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 ‘큰 새는 바람을 거슬러 난다’ 펴낸 원로 언론학자 김민환 명예교수
김민환 고려대 미디어학부 명예교수는 “우리 사회가 봉강 정해룡 선생의 통합과 포용의 정신을 이어받길 바라는 심정”이라면서 소설 ‘큰 새는 바람을 거슬러 난다’를 쓴 계기를 전했다.
문예중앙 제공
문예중앙 제공
강단에서 내려온 뒤 소설가로 전향한 원로 언론학자 김민환(76) 고려대 미디어학부 명예교수가 세 번째 소설 ‘큰 새는 바람을 거슬러 난다’(문예중앙)로 독자들에게 돌아왔다. 일제강점기 전남 보성 지주가문에서 태어나 가산을 독립운동 자금에 보탠 봉강의 생애 궤적을 추적하며 현대사의 굴곡을 조명한다.
최근 전화로 만난 김 교수에게 왜 봉강인지 묻자 “분단 시대의 잔재를 없애고 좌우가 타협하며 품격 있는 사회로 가려면 봉강의 일대기를 알아야 한다”면서 “그는 순리를 위한 일이라면 역풍도 뚫고 날아가는 분”이라고 했다.
김 교수는 고교 동창인 정훈상에게서 집안 내력을 듣고는 봉강 선생에게 관심을 갖게 됐다. 봉강은 해방 후 단독정부를 주장한 이승만, 김일성과 달리 몽양 여운형의 중립화 통일 노선을 지지하며 포용의 정신을 강조했다. 일본 유학파 출신 동생(정해진)은 월북하고, 여순사건과 6·25전쟁 등으로 집안은 고역을 겪는다. 정해진의 아들이었던 친구는 군 복무 도중인 1969년 아버지를 따라 월북했다.
‘큰 새는 바람을 거슬러 난다’ 책표지.
문예중앙 제공
문예중앙 제공
신문방송학을 전공한 김 교수는 원래 기자를 한 뒤에 소설가가 되려 했다. 친구 정훈상이 대남 방송에서 자신을 거론하는 등 ‘요주의 인물’로 찍히면서 학문의 길을 택하게 됐다. 2010년 은퇴하고 전남 보길도에 내려와 문학 청년의 옛 꿈을 불태우고 있다.
김 교수의 다른 소설 ‘담징’(2013)과 ‘눈 속에 핀 꽃’(2018)도 이번 작품과 마찬가지로 역사를 다뤘다.
김 교수는 “한국 언론사를 오래 연구하다 보니 역사물을 쓰게 됐다”며 “1년가량 푹 쉰 뒤 연애 소설에 도전할까 생각 중”이라며 웃었다.
하종훈 기자 artg@seoul.co.kr
2021-05-06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