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병룡 IAEA 한국대표
“국제원자력기구(IAEA) 창설, 아니 원자력 발전이 광범위하게 사용되기 시작한 이후로 가장 큰 위기라는 걱정이 가득합니다. 일부에서는 이번 사고에 원전의 생존이 달려 있다고 수군대기도 합니다.”→IAEA가 긴박하게 돌아가고 있을 것 같다.
-하루에도 공식·비공식 회의가 수십 차례 열린다. 본부에서 새로 수집한 정보를 각국 대표부에 알리고, 지원책을 논의하는 회의가 대부분이다.
→후쿠시마 원전에 대한 충분한 정보를 얻고 있는가.
-현 상황에서 정보는 전적으로 일본 측의 보고에 의존하고 있다. 나라마다 운용하는 시스템이 다르고 각각 고유의 노하우가 있기 때문에 IAEA가 직접 상황을 판단하기는 쉽지 않다. 다행히 현 총장이 일본 출신이라 의사소통은 잘되고 있는 것 같다.
→일본이 여전히 사고 ‘레벨 4’를 고집하고 있는데, 프랑스측은 ‘레벨 6’이라고 발표했다. 혼선이 빚어지는 이유가 뭔가.
-원전 사고에 대한 평가기준이 국가별로 다르기 때문이다. 프랑스는 세계에서 가장 사고 기준이 엄격하고, 최대한 비관적인 입장에서 사태를 평가하는 경향이 있다. 개인적으로는 최악의 경우를 상정해서 레벨을 정하는 방식이 맞다고 본다.
→IAEA의 지원은 잘되고 있는가.
-미국 최고의 전문가 두명이 현지로 갔다. 상황을 가장 잘 파악하고 수습할 수 있는 것은 일본이라고 IAEA는 판단하고 있다. 원전을 가동하는 나라들은 3개월, 6개월, 1년, 2~3년 단위로 각기 다른 조건에서 사고 발생에 대비하고 훈련한다. 시스템의 특성, 지역적 상황 등은 결국 해당국 전문가가 가장 잘 알고 있다. 만약에 우리나라에서 사고가 난다고 해도 마찬가지다. 일본이 미국 전문가를 받아들인 것도 실질적으로 수습에 도움을 얻기 위해서라기보다는 축소·은폐 등 의혹에서 벗어나겠다는 목적이 크다.
→세계 각국에서 원전 반대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번 사태는 향후 원전의 생존에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사고를 처리하고 수습하는 과정에서 기존에 몰랐던 새로운 위험을 알게 되고, 노하우도 얻게 될 것이다. 원전 안전이 지금 수준까지 높아진 것은 1986년 체르노빌 사고가 결정적이었다. 그후 보완된 안전장치에 대해 전문가들이 자만을 한 부분도 없지 않다.
→한국은 사고영향에서 안전한가.
-현 단계에서는 일단 주변국에 대한 위험은 없는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그래도 100% 안전이란 것은 없지 않겠는가.
박건형기자 kitsch@seoul.co.kr
2011-03-18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