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6월30일 아프가니스탄 파르완주 차리카르시의 한국 지방재건팀(PRT) 기지 공사현장을 겨눈 로켓포 공격은 현지 무장세력의 소행이 아닌 현지 경호인력의 자작극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정부 소식통은 5일 “현지 경찰의 중간조사 결과 당시 로켓포 공격은 위험수당을 더 받으려는 경호업체 직원들의 자작극일 가능성이 드러났다.”고 말했다. 현지 경호업체 직원 2명이 몰래 빠져나가 로켓포를 발사했고 기지 내에 있던 직원 2명이 응사했다는 의혹이다. 그러나 외교통상부 관계자는 “최종적으로 확인된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정부는 당시 공사현장에 로켓포 2발이 떨어졌고 현지 무장세력의 소행으로 추정됐다고 밝힌 바 있다. 공사현장을 공격한 무기는 러시아제 RPG-7로 현지 경호인력들이 주로 사용하는 무기였다. 현지 경찰은 공사현장을 공격한 로켓포 포탄과 응사한 포탄이 같은 종류임을 수상히 여겨 경호업체 직원을 집중 수사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사건 발생 당시 아프간 현지에는 경호업체 불렛케이(Bullet-K)에서 파견된 직원 10명과 현지인 경호 인력 120명이 2개조로 나눠 조립식 주택 제조업체인 태화 관계자를 비롯한 공사 인력 48명을 보호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김상연·오이석기자 carlos@seoul.co.kr
정부 소식통은 5일 “현지 경찰의 중간조사 결과 당시 로켓포 공격은 위험수당을 더 받으려는 경호업체 직원들의 자작극일 가능성이 드러났다.”고 말했다. 현지 경호업체 직원 2명이 몰래 빠져나가 로켓포를 발사했고 기지 내에 있던 직원 2명이 응사했다는 의혹이다. 그러나 외교통상부 관계자는 “최종적으로 확인된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정부는 당시 공사현장에 로켓포 2발이 떨어졌고 현지 무장세력의 소행으로 추정됐다고 밝힌 바 있다. 공사현장을 공격한 무기는 러시아제 RPG-7로 현지 경호인력들이 주로 사용하는 무기였다. 현지 경찰은 공사현장을 공격한 로켓포 포탄과 응사한 포탄이 같은 종류임을 수상히 여겨 경호업체 직원을 집중 수사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사건 발생 당시 아프간 현지에는 경호업체 불렛케이(Bullet-K)에서 파견된 직원 10명과 현지인 경호 인력 120명이 2개조로 나눠 조립식 주택 제조업체인 태화 관계자를 비롯한 공사 인력 48명을 보호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김상연·오이석기자 carlos@seoul.co.kr
2010-08-06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