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북청소년 대안학교 교사 전치균 씨
탈북청소년들을 위한 대안학교인 경기 안성시 한겨레중고등학교(한겨레학교)는 학생과 교사들이 한가족처럼 지내는 곳이다. 기숙사 호실마다 교사가 거주하면서 학생들이 눈을 뜰 때부터 잠들 때까지 함께한다. 이 학교에서 도덕 교과를 담당하는 전치균(40) 교사는 학교가 설립되던 2006년부터 학교를 지켜오고 있다. 목욕탕에서 학생들의 등을 밀어주는가 하면 학생들과 침대에 나란히 누워 도란도란 이야기를 나누는 전 교사는 학생들에게 엄한 선생님이면서 또한 형·오빠와 같은 존재다.전치균 탈북청소년 대안학교 교사
●초기 3%이던 대학 졸업률 점차 올라가
전 교사가 한겨레학교와 인연을 맺은 것은 학교가 설립되기 전인 2005년. 원불교 성직자로 생활하던 중 탈북청소년 학교의 교사가 되어 달라는 곽종문 교장의 제안을 받았다. 초등학교 시절 교사를 꿈꿨던 그는 흔쾌히 승낙했다. 탈북청소년을 좀 더 깊이 이해하기 위해 하나원에서 1년간 자원봉사를 하기도 했다. 교사들을 선발하고 탈북청소년에 대한 이해를 돕는 것도 전 교사의 몫이었다. 자연스레 전 교사는 학교가 설립되던 2006년부터 지난해까지 교무부장을 맡았다.
설립 초기에는 교사는 물론 학생들도 고생이 이만저만이 아니었다. 지금의 건물이 지어지기 전까지 비좁은 2층짜리 건물에서 수업과 숙식을 해결해야 했다. 기숙사가 부족해 학생들은 인근 마을회관에서 잠을 자야 했고, 서른명의 교사들이 10평 남짓한 교무실에서 업무를 봤다. 기초학습 능력이 부족한 학생들을 위해 교사들은 밤늦게까지 국·영·수 수업에 매달렸다. 교무부장을 맡은 전 교사는 학생들의 생활지도와 공문 처리 등에 매달리다 자정을 넘기기를 밥 먹듯이 했다. 하지만 전 교사는“묵묵히 견디면서 열심히 배우려는 학생들 덕분에 힘들었던 시간을 이겨낼 수 있었다.”고 돌이켰다.
기나긴 탈북과정에서 공부를 생각할 겨를조차 없었던 학생들은 학업 수준이 남한 학생들에 비해 현저히 낮다. 하지만 전 교사는 “너희는 공부를 못하는 게 아니라 공부할 기회가 없었던 것뿐”이라며 학생들을 다독였다. 주사위를 이용한 경우의 수 문제를 두고 “주사위가 뭐예요.”라고 물어보는 학생들을 상대로 교과 학습을 진행하는 일은 결코 쉽지 않았다. 그러나 학생들이 부지런히 공부해 대학에 들어가고, 초기에 고작 3%이던 대학 졸업률이 점차 올라가는 것을 보면서 전 교사는 희망을 발견한다.
그에게 가장 큰 보람은 학생들이 성장하는 과정을 공유할 수 있다는 것. 매년 스승의 날이 되면 졸업생들이 찾아와 지나간 일을 함께 추억하기도 한다. 더러는 청첩장을 보내오거나, 아이를 낳았다며 전화를 걸어오는 학생도 있다.
●“학생들 성장과정 공유할 수 있어 보람”
전 교사는 “학생들이 졸업해 사회에 나가면 상처도 받고, 어려움도 겪지만, 그래도 교사와의 관계를 놓지 않고 고마움을 표시하는 학생들을 볼 때 가장 큰 보람을 느낀다.”고 말했다.
탈북청소년들은 통일사회의 주역이 되라는 주문을 많이 듣는다. 그러나 전 교사가 학생들에게 바라는 것은 거창한 것이 아니다. 학생들이 ‘새터민’이라며 주눅 들지 말았으면 하는 것이다. “경상도에서 전라도로 전학갈 수 있듯, 함경북도에서 경기도로 전학올 수도 있다.”는 전 교사는 “학생들이 당당하게 자라 사회의 건강한 구성원이 됐으면 좋겠다.”는 바람을 밝혔다.
글 사진 안성 김소라기자 sora@seoul.co.kr
2011-05-14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