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함 생존장병들의 상처 그리고 희망
“그날 이후 2년이란 시간이 흘렀지만, 우리 집에서는 아직도 천안함 얘기만은 꺼내지 못합니다.” 천안함 사건 2주기를 하루 앞둔 25일 밤 울산 중구 P아파트 안도승(56·회사원)씨는 자택을 찾은 기자를 보자마자 “아들이 평생 가슴에 안고 가야 할 아픔”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의 아들 재근(24·계명대 4년)씨는 천안함 생존 장병으로 사건 당시 상병이었다. 천안함 생존 장병들의 상처는 여전했다. 그렇지만 군이든 사회이든, 그곳에 적응하려고 애쓰는 모습이 역력했다.천안함 생존 장병 안재근씨의 아버지 안도승씨가 25일 울산 중구 자신의 집에서 아들의 근황을 얘기하고 있다.
이날 전역한 생존 장병 몇몇에게도 전화를 걸었으나 “그 사람이 아닌데요.”라고 피하거나 받지를 않았다. 어느 정도 고통에서 벗어나 평상으로 돌아왔지만, 지금도 생존장병 대부분은 언론 인터뷰 등 외부 노출을 꺼렸다.
안씨는 “재근이가 사고 당시 동료를 구해 영웅으로 불리기도 했지만, 매년 이맘때면 말수가 적어진다.”면서 “중학교 친구인 손수민 하사가 끝내 돌아오지 못한 것에 큰 충격을 받았던 것 같다. 우울증으로 고통을 받기도 했다.”고 전했다.
재근씨는 지난해 2월 전역한 뒤 곧바로 복학했다. 사고 당시 그는 함수 쪽에서 40㎜ 함포 당직근무를 서다 간신히 목숨을 건졌다. 복학 후 바쁘게 생활했지만 생지옥이나 다름없었던 악몽은 쉽게 가시지 않았다. 아버지는 “천성적으로 성격이 밝은 재근이가 우울한 모습을 보이지 않으려고 애쓰는 게 더 안타까웠다.”고 말했다. 아들 재근씨는 좀 더 새롭고 나은 꿈을 이루기 위해 다음 달 캐나다로 어학연수를 떠난다. 요즘 전역한 동료들과 수시로 연락하면서 만나고 있고, 국립대전현충원 천안함 묘역을 찾기로 약속도 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군 복무 중인 생존 장병들은 낫지 않은 상처에도 특유의 집단활동으로 극복해 가고 있었다. 해군2함대 항만지원대에서 복무 중인 공창표(24) 하사는 “산화한 동료들이 몇 달 간격으로 꿈에 나타난다. 그때의 두려움을 이겨내기 위해 2함대에 남았다.”고 말했다. 그는 “차가운 백령도 바다에 수장된 전우들의 복수를 위해 2년간 뼈를 깎으며 칼을 갈아왔다.”고 다짐도 했다. 허순행(40) 상사도 “적이 또 도발한다면 반드시 응징하겠다.”고 각오를 다졌다. 천안함이 속했던 2함대 장병들은 요즘 악수하거나 경례할 때 ‘싸우면 박살 내겠습니다’라는 구호를 외치고 있다.
천안함 생존자 58명 중 수병 16명은 전역했고, 부사관·장교 42명은 군(함정 18명, 육상부대 24명)에 남아 있다.
안씨는 “‘천안함 실체’ 논란이 벌어질 때마다 너무 화가 난다. 분명한 사실은 북한이 천안함을 침몰시켰다는 것”이라며 “생존 장병들은 나라에 고귀한 생명을 던진 동료들의 몫까지 열심히 살려고 노력하고 있다. 이제는 그들이 편안하게 일상을 보낼 수 있도록 우리가 (천안함 악몽으로부터)놔줘야 한다. 그것만이 우리 아들들의 아픔을 덜어주는 것”이라고 말했다.
글 사진 울산 박정훈기자 jhp@seoul.co.kr
2012-03-26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