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행정연구원 실태조사…‘동성애 반대’ 8.2%p 하락, 진보 > 보수 10%p 격차
펜스 사이에 둔 동성애 찬반
성(性) 소수자들의 최대 축제인 서울퀴어문화축제가 열린 14일 오전 서울광장 행사장에서 참가자들이 행사장 너머 동성애 반대 집회를 바라보고 있다. 2018.7.14 연합뉴스
자신의 정치적 성향을 진보로 인식하는 사람과 보수로 인식하는 사람의 비율 격차는 10%포인트 이상으로 벌어졌고 진보가 중도 다음으로 많았다.
한국행정연구원이 2018년 9∼10월 국내 만 19∼69세 성인 8천 명을 조사해 17일 공개한 ‘2018 사회통합실태조사’에 따르면 한국인들의 소수자 포용 경향은 전체적으로 강해지는 추세다.
동성애자에 대해 ‘받아들일 수 없다’는 응답은 49.0%를 기록했다.
동성애 반대론은 2013년 62.1%, 2014년 56.9%, 2015년 57.7%, 2016년 55.8%, 2017년 57.2% 등 줄곧 하락하면서도 과반을 점하다가 이번 조사에서 처음 절반 이하로 떨어졌다.
전과자를 받아들일 수 없다고 생각하는 응답자는 2017년보다 6.7%포인트 낮아진 62.7%였다.
북한이탈주민에 대해서는 12.6%, 외국인 이민·노동자에 대해서는 5.7%, 결손가정 자녀에 대해서는 0.8%가 받아들일 수 없다는 답변을 했다.
이 같은 ‘소수자 배제 인식’은 장애인과 결손가정 자녀 부문에서 남성이 더 많았고 전과자나 동성애자, 북한이탈주민, 외국인 이민·노동자 부문에서는 여성이 더 많았다.
정치·이념 지형은 진보 측이 세를 넓히는 경향이 유지됐다.
이념 성향이 중도적이라는 응답이 47.4%로 가장 많았고 진보 31.4%, 보수 21.2% 등의 분포를 보였다. 남성, 저연령, 고소득층에서 스스로를 진보 성향이라고 여기는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2013년에는 진보 22.6%, 보수 31.0%였으나 진보는 꾸준히 늘고 보수는 줄어들다가 5년 만에 완전히 역전돼 진보가 10.2%포인트 더 높았다.
행복감이나 삶의 만족도를 뜻하는 ‘주관적 웰빙’, 안전성, 국가에 대한 자긍심, 개인·집단 간 소통은 전반적으로 인식 정도가 높아지는 추세를 보였다.
금전·신체·정신적으로 어려울 때 타인의 도움을 받는 것을 뜻하는 ‘한계적 소통’ 수준은 꾸준히 개선됐다.
목돈이 필요할 때 빌릴 사람이 없다는 응답은 2017년 25.8%에서 지난해 18.3%로, 몸이 아플 때 도와줄 사람이 없다는 응답은 11.5%에서 9.3%로 각 낮아졌다.
남성, 고연령, 저소득층이 한계적 소통에 비교적 더 큰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력에 의한 사회·경제적 지위 상승 가능성과 정치·경제 상황에 대한 만족도 및 5년 후 전망 등을 긍정적으로 보는 인식은 2017년보다 소폭 낮아졌다.
자신의 지위 상승 가능성은 4점 만점에 2.7점에서 2.6점으로 떨어졌고 자녀의 상승 가능성은 2.5점을 유지했다.
정치와 경제 만족도는 10점 만점에 각 4.4점, 4.1점을 기록해 전년보다 0.1점, 0.2점씩 낮아졌다.
5년 후 정치·경제 상황 전망은 2017년 모두 5.2점이었다가 이번 조사에서 각 4.9점, 4.8점으로 하락했다.
2018년에 새로 생긴 문항인 민주주의 수준 만족도는 10점 만점에 5.6점을 기록해 ‘보통 이상’으로 나왔다.
성장과 분배 중 성장이 중요하다는 응답은 2016년 19.0%, 2017년 20.6%, 2018년 21.5%로 계속 늘어났고 분배가 중요하다는 답은 각 17.1%, 15.8%, 13.7%로 하락했다.
앞으로 10년간 우선으로 이뤄야 할 국가 목표로는 ‘고도의 경제성장’이 64.8%로 가장 많은 지지를 받았다.
2015∼2017년 두 번째로 중요한 국가 목표였던 ‘국방 강화’는 이번 조사에서 19.6%를 차지해 3위로 떨어졌고 ‘직장·지역공동체 참여 및 권한 증대’가 20.1%로 2위로 부상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