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정책연구원 보고서, 국내 120개 기업 조사
“여성 채용시 장기근속 여부 크게 고려, 관리자 승진 가능성도 낮아”
서울 양천구 해우리 열린육아방에서 홈캉스 프로그램에 참석한 어린이들이 즐거운 시간을 보내고 있다.
2020.8.4
뉴스1
2020.8.4
뉴스1
한국여성정책연구원 강민정 부연구위원은 27일 ‘한국의 직장문화 실태와 성 격차 개선방안’이라는 보고서에서 여성의 경우 육아휴직 이후에 원하지 않는 다른 직무로 배치되는 비율이 26.5%이며 전혀 할 수 없는 직무로 배치되는 비율이 1.8%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국내 120개 기업 인사담당자와 해당 기업의 근로자 평균 15명 등 모두 1922명을 조사한 결과다. 조사 대상은 중공업, 유통, 과학기술, 금융·보험 업계 종사자들이다.
조사 결과 남성의 경우에는 육아휴직 이후 원하지 않는 다른 직무로 배치되는 비율이 22.2%이며 전혀 할 수 없는 직무로 배치되는 경우는 한건도 없었다. 휴직 전 원래 직무로 배치됐다는 응답 비율은 여성이 67.6%, 남성이 77.8%로 각각 나타났다.
강 부연구위원은 “육아휴직제도 사용에 따른 인력 공백은 대체인력 채용으로 해결한다는 응답이 82.9%로 가장 많았으며, 남성이 육아휴직를 사용할 때는 해당 팀에서 자체 해결한다는 응답이 66.7%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여성근로자를 채용하거나 배치할 때 회사에서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사항에 대해 질문한 결과 ‘중간에 퇴사하지 않고 오래 다닐 수 있는가‘라는 항목을 선택한 비율이 75.8%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장기근속 여부를 가장 크게 고려한다는 얘기다. 채용시 용모를 본다는 응답은 남성은 3.3%, 여성은 16.6%로 나타나 성별로 다른 기준을 적용하고 있었다.
중공업과 과학기술 분야에서는 남녀간 인사고과 분포와 승진 비율도 눈에 띄게 격차를 보였다. 사원·대리급의 경우 중공업은 인사고과 상위등급에 속한 비율이 남성은 86.3%인 반면 여성은 13.7%에 그쳤다. 관리자급 역시 중공업과 과학기술 부문에서 직급이 높을 수록 여성 비율이 급격하게 감소했다. 비슷한 조건의 남녀 관리자가 승진할 가능성을 묻는 항목에서는 응답자의 37.0%가 남성 관리자를 승진시킬 가능성이 높다고 응답했다. 여성 관리자의 승진 가능성이 높다는 응답은 0.7%에 불과했다. 또 인사고과시 남성이 여성보다 더 높게 평가받는다는 데에 전체 근로자 26.3%가 동의했으며 중공업 분야에서는 그 비율이 37.6%로 가장 높았다.
이같은 조사 결과에 따라 강 부연구위원은 직장내 성평등 인식을 높이고 성별 임금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직장문화 개선 컨설팅을 강화하고, 성별 다양성 지표 관리와 일하는 방식의 개선 등 성평등한 직장문화를 조성하기 위한 기업 차원의 실천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또 성별간 평가와 승진 제도의 공정성을 강화하고 조직문화를 전담하는 부서가 제대로 역할할 수 있도록 실효성을 높여야 한다고 제언했다.
세종 박찬구 선임기자 ckpark@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