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업급여라도…
18일 서울 마포구 서울서부고용복지플러스센터에서 시민들이 실업 급여를 받기 위한 ‘실업인정신청서’를 작성하고자 대기하고 있다. 최근 1년 새 25만명에 육박하는 자영업자가 실직자로 전락했다.
도준석 기자 pado@seoul.co.kr
도준석 기자 pado@seoul.co.kr
“10명 중 1명은 100만원도 못 번다”한 달에 200만원도 벌지 못하는 임금근로자가 전체의 30% 수준인 615만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숙박·음식점업 종사자 중 27%는 월급이 100만원에 못미쳤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고용이 회복되며 전체 취업자 수는 늘고 있지만 대부분 단기 일자리 증가에 그치는 등 일자리의 품질은 저하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19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1년 상반기 지역별 고용조사-취업자의 산업 및 직업별 특성’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4월 기준) 임금근로자 264만7000명 가운데 월평균 임금이 100만원 미만인 경우는 205만6000명(10.0%), 100만~200만원 미만은 409만7000명(19.8%)이었다.
아르바이트 등 단기 임시직 근로자를 포함한 것으로, 전체 임금근로자 가운데 10명 중 3명꼴인 615만3000명(29.8%)은 월급이 200만원에 못 미친 셈이다.
월급이 200만~300만원 미만인 경우가 687만5000명(33.3%)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최근 1년 새 사업 접고 실직자 된 자영업자가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18일 오전 서울 마포구 서울서부고용복지플러스센터를 찾은 실업급여 수급자들이 대기하고 있다. 2021.10.18. 도준석 기자 pado@seoul.co.kr
월급 200만원 미만을 기준으로 삼으면 숙박·음식점업에 종사한 임금근로자의 62.1%가 해당된다.
100만~200만원 미만에서는 농림어업(37.9%)이, 200만~300만원 미만은 사업시설관리·사업지원·임대서비스업(41.2%)이 각각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직업별로 보면 100만원 미만 임금근로자 가운데는 단순 노무 종사자(28.2%)가 가장 높은 비중을 나타냈고, 400만원 이상에서는 관리자(80.0%)가 대부분을 차지했다.
비임금근로자를 포함한 전체 취업자(2721만4000명)를 산업 소분류(232개)별로 나눠보면 음식점업 취업자가 161만3000명(5.9%)으로 가장 많았다.
산업 중분류(77개)별로는 자동차 제외 소매업(205만7000명·7.6%), 음식점·주점업(200만2000명·7.4%), 교육서비스업(182만5000명·6.7%) 등 순으로 취업자가 많았다.
전년 동기 대비로는 사회복지서비스업 취업자가 17만9000명 증가해 가장 큰 폭으로 늘었다. 코로나19 확산에도 불구하고 음식점·주점업 취업자도 6만8000명 늘었다.
교육 정도별로는 중졸 이하의 경우 농업(83만6000명), 고졸은 음식점·주점업(110만6000명), 대졸 이상은 교육서비스업(150만명)에 가장 많이 종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종사상 지위별 취업자를 산업 대분류(21개)별로 살펴보면 상용근로자 가운데는 제조업 종사자(23.8%) 비중이 가장 높았고, 임시·일용근로자는 건설업(13.9%)과 숙박·음식점업(12.8%)에 다수 분포했다.
직업 소분류별 취업자는 경영 관련 사무원(232만명·8.5%), 매장 판매종사자(174만5000명·6.4%), 작물 재배종사자(122만8000명·4.5%) 순으로 많았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