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 강점기인 1929년 발발한 광주학생독립운동과 관련한 자료가 미국 국무부 기밀문서로 묶여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2일 전남대 정치외교학과 김재기 교수에 따르면 지난 2016년부터 미국 메릴랜드주에 있는 미국 국가기록원(NARA)에서 광주학생독립운동에 관한 자료를 찾던 중 ‘비밀문서’(Confidential File)로 존재하고 있는 것을 확인했다.
이 비밀문서는 당시 우리나라 상황을 분야별로 구분해 적고 있는데,목차를 보면 사회 분야에서는 광주학생독립운동을 다루고 있다.
그러나 정작 본문에는 ‘비밀문서 참조’(See Confidential File)라고만 밝히고 있어,해당 문서가 별도로 존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김재기 교수는 미국 국가기록원 측에 해당 자료의 공개를 요청했으나,“기밀자료로 분류되어 어디 있는지 알 수 없다”는 답변을 들었다.
이 자료는 당시 주한 미국영사관이 작성해 본국에 보고했다는 점에서 학술 가치뿐만 아니라 당시 광주학생독립운동의 전개 양상을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김 교수는 “당시 미국은 광주학생독립운동을 공산주의자들이 주도한 것으로 봤고,이 때문에 이를 별도의 비밀자료로 분류했던 것 같다”며 “92년이 지난 이 비밀문서는 조속히 공개돼야 한다”고 말했다.김 교수는 미국 현지 조사를 통해 뉴욕타임스와 워싱턴포스트에서 광주학생독립운동을 보도한 자료를 발굴하는 등 광주학생독립운동에 대해 꾸준히 연구해 오고 있다.
2일 전남대 정치외교학과 김재기 교수에 따르면 지난 2016년부터 미국 메릴랜드주에 있는 미국 국가기록원(NARA)에서 광주학생독립운동에 관한 자료를 찾던 중 ‘비밀문서’(Confidential File)로 존재하고 있는 것을 확인했다.
이 비밀문서는 당시 우리나라 상황을 분야별로 구분해 적고 있는데,목차를 보면 사회 분야에서는 광주학생독립운동을 다루고 있다.
그러나 정작 본문에는 ‘비밀문서 참조’(See Confidential File)라고만 밝히고 있어,해당 문서가 별도로 존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김재기 교수는 미국 국가기록원 측에 해당 자료의 공개를 요청했으나,“기밀자료로 분류되어 어디 있는지 알 수 없다”는 답변을 들었다.
이 자료는 당시 주한 미국영사관이 작성해 본국에 보고했다는 점에서 학술 가치뿐만 아니라 당시 광주학생독립운동의 전개 양상을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김 교수는 “당시 미국은 광주학생독립운동을 공산주의자들이 주도한 것으로 봤고,이 때문에 이를 별도의 비밀자료로 분류했던 것 같다”며 “92년이 지난 이 비밀문서는 조속히 공개돼야 한다”고 말했다.김 교수는 미국 현지 조사를 통해 뉴욕타임스와 워싱턴포스트에서 광주학생독립운동을 보도한 자료를 발굴하는 등 광주학생독립운동에 대해 꾸준히 연구해 오고 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