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차’ 때 1일 1000명대로 많아 후유증
정점까지 한 달 반, 감소 시간도 길어
방역 사각지대 집단감염 지속도 원인
개학·변이바이러스 등도 폭증 변수
3일 경기도 동두천시 중앙도심공원 임시선별검사소에서 시민들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검사를 위해 줄지어 기다리고 있다. 2021.3.3 연합뉴스
4일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으로 해외 감염자를 제외한 국내 신규 확진자는 401명이었다. 주간 일평균 국내 신규 확진자 역시 12월 23~29일 984.0명을 기록한 뒤 864.4명(12월 30일~1월 5일), 593.3명(1월 6~13일)으로 햐향세가 두드러지게 나타났지만 1월 14~20일 주(445.1명)부터는 300~400명대를 오르내리고 있다.
방대본은 정체기가 계속되는 이유로 세 가지를 꼽는다. 우선 3차 유행이 1~2차 유행 당시 경험하지 못했던 1000명대 확진자가 나올 만큼 규모가 컸기 때문에 후유증이 계속되고 있다는 것이다.
권준욱 방대본 제2본부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확진자가 많았던 만큼) 지역사회에서 조용한 전파가 그만큼 많이 이뤄졌을 가능성이 있다. 그리고 원론적으로 3차 유행이 정점에 올라갈 때까지 한 달 반 넘게 걸렸기 때문에 내려오는 시간도 상대적으로 길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최근 방역 사각지대에서 집단감염이 지속적으로 나오는 것도 원인으로 꼽힌다. 방역당국은 앞선 유행을 거치며 종교시설, 요양병원을 고위험 시설로 분류하고 관리 체계를 갖춰 왔는데 생각하지 못한 곳에서 집단감염 발생이 잇따르고 있다. IM선교회 미인가 시설, 육가공업체, 경기 동두천시 외국인집단 감염 등이 대표적인 사례다. 이외에 지난달 15일 거리두기 단계 완화 이후에 설 연휴를 거치며 피로감을 느끼던 국민들의 이동량이 늘어난 것도 확진자 유지에 영향을 끼쳤다는 게 방대본의 설명이다.
다만 전문가들은 학교 개학, 봄철이라는 계절적 요인, 변이 바이러스 유행 가능성 등은 여전히 확진자를 폭증시킬 수 있는 변수로 언급했다.
최원석 고려대 안산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과거에 유행들이 억제되고 1차유행은 50명, 2차 유행은 100~200명 수준에서 확진자 규모를 유지했는데 저점이 계속 높아지고 있다”면서 “변이 바이러스가 강해지고 있고, 계절적 요인도 바이러스에 유리하게 바뀌고 있기 때문에 언제든 균형이 깨지고 확진자가 증폭할 수 있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이범수 기자 bulse46@seoul.co.kr
2021-03-05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