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원정대의 고산 사고는 히말라야 도전이 본격화한 1970년대부터 끊임없이 발생했다.
1971년 김호섭 대장과 그의 동생 김기섭 대원이 등반한 히말라야 8,000m 이상 14개 봉우리 가운데 하나인 마나술루(해발고도 8,163m)에서 일어난 사고가 그 시작이다.
이들은 7,600m까지 올라가 캠프를 설치하는 데까지 성공했으나 갑자기 돌풍이 몰아쳐 김기섭 대원이 빙하 틈으로 떨어져 숨지고 말았다.
정상 등정은 그대로 좌절됐으며 김 대원의 사망 사고는 한국 원정대가 히말라야에서 당한 사상 최초의 조난으로 기록됐다.
이듬해인 1972년에는 한국 산악계에서 가장 큰 사고가 불거졌다.
故 김기섭을 떠나보낸 김정섭, 김호섭 형제는 다시 마나슬루를 등정하기 위해 원정대를 조직했다.
대원 6명과 셰르파 12명으로 구성된 원정대는 6,500m에 캠프를 차리고 휴식하다가 새벽에 거대한 눈사태를 만났다.
텐트 6동이 순식간에 쓸려 내려갔고 일본인 1명을 포함해 대원 5명과 셰르파 10명 등 모두 15명이 숨지는 참사가 빚어졌다.
이 사고는 1937년 낭가파르밧에 도전한 독일 원정대가 눈사태로 대원 7명과 셰르파 9명을 잃은 이후 당시까지 두 번째로 인명 피해가 컸다.
한국은 고산 등반의 개척자 역할을 한 김정섭 대장과 동생 김기섭, 김호섭 대원이 잇따라 잃는 비운을 겪은 셈이다.
세계 최고봉인 히말라야 에베레스트(8,848m)에 최초로 발을 들인 한국인도 비운의 산악 사고로 세상을 떠났다.
김영도 대장이 이끄는 원정대의 고상돈 대원은 1977년 세계에서는 58번째이자 한국에서는 처음으로 에베레스트를 등정했다.
이후 고상돈은 1979년 이일교, 박훈규 씨와 함께 한국 최초로 미국 알래스카에 있는 매킨리(6,194m)를 등정하고 하산하다가 추락했다.
박훈규 대원만 중상을 입은 채 살아남아 ‘고상돈 기념사업회’를 운영하고 있다.
한국에서 ‘산악의 날’은 9월 15일로 고상돈 대장이 한국인으로서 처음으로 에베레스트를 등정한 날을 기념하고 있다.
여성 최초로 에베레스트를 등정한 한국인도 히말라야에서 돌아오지 못했다.
지현옥 대장은 1999년 히말라야 14좌 가운데 자신의 네 번째인 도전이었던 안나푸르나(8,091m)에 오른 뒤 “정상!”이라는 짧은 교신을 마치고 하산하다가 해발 7,800m 지점에서 실종됐다.
지 대장은 1993년 대한산악연맹 원정대 대장으로 최오순, 김순주 대원과 함께 꼭대기를 밟은 한국 여성 최초의 세계 최고봉 등정자였다.
여성으로서 세계 최초로 히말라야 14좌 완등에 도전한 고미영 대장도 등반 과정에서 생명을 잃고 말았다.
고 대장은 스포츠클라이밍 선수에서 고산 등반가로 변신하고서 불과 2년9개월 만에 히말라야 14좌 가운데 11개 봉우리에 올라 기대를 모았다.
그러나 2009년 12번째 봉우리인 낭가파르밧(8,125m)을 등정하고 나서 하산하다가 발을 헛디뎌 낭떠러지로 떨어졌다.
김재수 대장은 등반 파트너이던 고 대장과의 약속을 지키려고 함께 오르지 못한 나머지 8,000m 이상 봉우리를 대신 모두 올라 14좌 완등자가 됐다.
<국내 원정대의 주요 조난사고>
연합뉴스
1971년 김호섭 대장과 그의 동생 김기섭 대원이 등반한 히말라야 8,000m 이상 14개 봉우리 가운데 하나인 마나술루(해발고도 8,163m)에서 일어난 사고가 그 시작이다.
이들은 7,600m까지 올라가 캠프를 설치하는 데까지 성공했으나 갑자기 돌풍이 몰아쳐 김기섭 대원이 빙하 틈으로 떨어져 숨지고 말았다.
정상 등정은 그대로 좌절됐으며 김 대원의 사망 사고는 한국 원정대가 히말라야에서 당한 사상 최초의 조난으로 기록됐다.
이듬해인 1972년에는 한국 산악계에서 가장 큰 사고가 불거졌다.
故 김기섭을 떠나보낸 김정섭, 김호섭 형제는 다시 마나슬루를 등정하기 위해 원정대를 조직했다.
대원 6명과 셰르파 12명으로 구성된 원정대는 6,500m에 캠프를 차리고 휴식하다가 새벽에 거대한 눈사태를 만났다.
텐트 6동이 순식간에 쓸려 내려갔고 일본인 1명을 포함해 대원 5명과 셰르파 10명 등 모두 15명이 숨지는 참사가 빚어졌다.
이 사고는 1937년 낭가파르밧에 도전한 독일 원정대가 눈사태로 대원 7명과 셰르파 9명을 잃은 이후 당시까지 두 번째로 인명 피해가 컸다.
한국은 고산 등반의 개척자 역할을 한 김정섭 대장과 동생 김기섭, 김호섭 대원이 잇따라 잃는 비운을 겪은 셈이다.
세계 최고봉인 히말라야 에베레스트(8,848m)에 최초로 발을 들인 한국인도 비운의 산악 사고로 세상을 떠났다.
김영도 대장이 이끄는 원정대의 고상돈 대원은 1977년 세계에서는 58번째이자 한국에서는 처음으로 에베레스트를 등정했다.
이후 고상돈은 1979년 이일교, 박훈규 씨와 함께 한국 최초로 미국 알래스카에 있는 매킨리(6,194m)를 등정하고 하산하다가 추락했다.
박훈규 대원만 중상을 입은 채 살아남아 ‘고상돈 기념사업회’를 운영하고 있다.
한국에서 ‘산악의 날’은 9월 15일로 고상돈 대장이 한국인으로서 처음으로 에베레스트를 등정한 날을 기념하고 있다.
여성 최초로 에베레스트를 등정한 한국인도 히말라야에서 돌아오지 못했다.
지현옥 대장은 1999년 히말라야 14좌 가운데 자신의 네 번째인 도전이었던 안나푸르나(8,091m)에 오른 뒤 “정상!”이라는 짧은 교신을 마치고 하산하다가 해발 7,800m 지점에서 실종됐다.
지 대장은 1993년 대한산악연맹 원정대 대장으로 최오순, 김순주 대원과 함께 꼭대기를 밟은 한국 여성 최초의 세계 최고봉 등정자였다.
여성으로서 세계 최초로 히말라야 14좌 완등에 도전한 고미영 대장도 등반 과정에서 생명을 잃고 말았다.
고 대장은 스포츠클라이밍 선수에서 고산 등반가로 변신하고서 불과 2년9개월 만에 히말라야 14좌 가운데 11개 봉우리에 올라 기대를 모았다.
그러나 2009년 12번째 봉우리인 낭가파르밧(8,125m)을 등정하고 나서 하산하다가 발을 헛디뎌 낭떠러지로 떨어졌다.
김재수 대장은 등반 파트너이던 고 대장과의 약속을 지키려고 함께 오르지 못한 나머지 8,000m 이상 봉우리를 대신 모두 올라 14좌 완등자가 됐다.
<국내 원정대의 주요 조난사고>
연도 | 봉우리 | 위치 | 결과 |
1971년 | 마나슬루(8163 m) | 네팔 | 마나슬루원정대. 한국 산악 개척자 김기 섭 크레바스 추락사. 히말라야 원정 사상 최초의 조난으로 기록. |
1972년 | 마나슬루(8163 m) | 네팔 | 눈사태로 대원 5명과 셰르파 10명 사망. 1935년 독일 낭가파르밧원정대 16명 사망 이후 사상 두 번째로 큰 규모의 조난. |
1979년 | 매킨리(6194m) | 미국 알래 스카 | 한국 최초의 에베레스트 등정자 고상돈 등정 후 하산하다가 추락사 |
1983년 | 안나푸르나 1봉 (8091m) | 네팔 | 은벽산악회 7050m 도달. 대원 1명, 셰르 파 2명 눈사태로 사망 |
안나푸르나 2봉 (7937m) | 네팔 | 영남산악회 2명 등정 뒤 실종 | |
1986년 | 다울라기리 2봉 (7751m) | 네팔 | 팔공산악회 대원 1명 사망. 셰르파 2명 등정 |
에베레스트 (8848m) | 네팔 | 크로니산악회 8400m 도달. 셰르파 1명 추락사 | |
1988년 | 브로드피크 (8047m) | 파키스탄 | 악우회 대원 1명 사망 |
1989년 | 에베레스트 (8848m) | 네팔 | 광주전남학산련 중도 포기. 셰르파 1명 사망. |
1992년 | 루프 가르사르 (7200m) | 파키스탄 | 전주 파이오니어스 산악회 대원 2명 눈사 태로 실종 |
랑탕 리룽(7234 m) | 네팔 중부 | 제주설암산악회 대원 1명과 셰르파 2명 등 등정자 전원 사망 | |
1993년 | 시샤팡마(8027 m) | 중국 티베 트 | 거봉산악회 대원 2명 중앙봉 등정. 대원 1명 사망 |
에베레스트 (8848m) | 네팔 | 동국산악회 대원 3명, 셰르파 1명 등정. 대원 2명 사망. | |
1989년 | 얄륭캉(8505m) | 네팔 | 영남 지봉산악회 대원 1명, 셰르파 2명 동계초등 후 실종 |
초오유(8201m) | 네팔-티베 트 국경 | 삼천포산악회 7900m 도달. 셰르파 1명 사망. | |
히말출리 동봉 (7893m) | 네팔 | 계명대산악회 6300m 도달 후 대장 사망 | |
낭가파르밧 (8125m) | 파키스탄 | 전주대산악회 6200m 도달 뒤 대원 1명 추락사 | |
디란(7266m) | 파키스탄 | 5000m 도달 눈사태로 대원 2명 사망 | |
1990년 | 낭가파르밧 (8125m) | 파키스탄 | 광주합동대 7900m 도달 뒤 대원 1명 사 망 |
1992년 | 푸모리(7161m) | 네팔-중국 국경 | 부산 빌라알파인클럽 대원 3명 등정 뒤 실종 |
푸모리(7161m) | 네팔-중국 국경 | 뫼우리산악회 6100m 도달. 대원 1명 사 망. | |
1993년 | 낭가파르밧 (8125m) | 파키스탄 | 충남대 공대산악회 8070m 도달 뒤 대원 추락사 |
1994년 | 트랑고 네임리 스타워(6239m) | 파키스탄 | 청암 한줄합동대 대원 1명 사망 |
안나푸르나 1봉 | 네팔 중부 | 대구지봉산악회 5800m 도달. 대원 1명 추락사 | |
1995년 | 브로드피크 (8047m) | 파키스탄 | 광주전남 합동대 대원 3명 등정하고 대원 1명 추락사 |
티리치 미르 (7708m) | 파키스탄 | 경기북부연맹 대원 2명 등정 후 실종 | |
바기라티 2봉 (6512m) | 인도 | 하이얀 산악회 눈사태로 대원 1명 실종 | |
에베레스트 (8848m) | 네팔 | 고려대산악회 등정 1명 사망 | |
에베레스트 (8848m) | 네팔 | 개척산악회 북동릉 7800m 등정. 1명 사 망. | |
1996년 | 브로드피크 (8047m) | 파키스탄 | 경희대산악회 등정 후 대원 3명 실종 |
에베레스트 (8848m) | 네팔 | 조선대산악회 대원 2명, 셰르파 3명 등 정. 1명 사망. | |
1997년 | 안나푸르나 1봉 (8091m) | 네팔 중부 | 대한산악연맹 등반 셰르파 1명 사망 |
팡(7647m) | 네팔 | 강원대산악회 1명 사망 | |
1998년 | 탈레이사가르 (6904m) | 인도 | 합동등반. 북벽 오른 뒤 정상 설원에서 3 명 추락사. |
1999년 | 마칼루(8463m) | 네팔 | 박영석과 함께 등반한 셰르파 1명 추락사 |
안나푸르나 (8091m) | 네팔 | 한국 여성 최초의 에베레스트 등정자 지 현옥 등정 후 하산하다가 실종 | |
2000년 | 초오유(8210m) | 네팔-티베 트 국경 | 경남.대전산악연맹 합동 등반. 남벽 7800 m 도달해 눈사태로 셰르파 3명 사망. |
다울라기리 (8167m) | 네팔 | 경남학생산악연맹 북서벽 6200m 도달. 눈사태로 1명 사망. | |
2001년 | 초오유(8210m) | 네팔-티베 트 국경 | 경북산악연맹 대원 1명 5700m에서 고산 증으로 사망 |
카조리(6151m) | 네팔 | 성균관대산악회 대원 낙석으로 사망 | |
2004년 | 촐라체(5440m) | 네팔 | 박정헌 최강식 남서릉 하산 중 조난당했 으나 6일 만에 극적으로 생환 |
2007년 | 에베레스트 (8848m) | 네팔 | 박영석 원정대 남서벽 등반하다 대원 2명 눈사태로 사망 |
2008년 | K2(8661m) | 중국-파키 스탄 국경 | 플라잉원정대. 김재수, 고미영 등과 등반 하던 대원 3명과 셰르파 2명 사망 |
2009년 | 낭가파르밧 (8125m) | 파키스탄 | 고미영 정상에 오른 뒤 하산하다가 추락 사 |
2010년 | 마나슬루(8163 m) | 네팔 | 도로공사원정대 하산하다가 대원 2명 사 망 |
파리랍차(6017 m) | 네팔 | 파리랍차 원정대 대원 1명 하산하다가 복 통 호소하며 사망 | |
2011년 | 안나푸르나 (8091m) | 네팔 | 박영석 원정대 남벽 등반하다가 강기석, 신동민 대원과 함께 실종 |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