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화 공헌했으나 30년 정치하면서
기득권 세력화해 세대교체 호응해야
‘친문’ 김종민 국회의원이 ‘586세대 용퇴’를 거론해 파장이 일고 있다. ‘할아버지도 있는데’라고 회피하기보다 민주당 내에서 구체적 논의가 필요하다. 사진은 더불어민주당 송영길 대표가 18일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대선 선대위 1.5℃ 위원회 발대식을 주재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586세대’란 50대, 1980년대 대학을 다닌 1960년대생을 말한다. 2000년 총선에서 당시 김대중 대통령은 ‘젊은피 수혈’이라며 학생운동권 출신 30대를 영입해 국회의원직에 진출시켰다. 1988년 총선에서 당선된 이해찬 전 민주당 대표 등을 포함하면 민주화 세대가 정치에 참여한 지는 30년이 훌쩍 넘는다. 현재 50대 국회의원은 여야 합쳐 170명을 넘고, 한국 민주화에 대한 공헌을 인정받은 586 정치인은 100여명 된다. ‘3선 제한론’이 정치개혁 과제로 나올 만하다.
이들은 국회뿐 아니라 정부, 청와대에서도 일했지만 노무현 정부에서는 ‘무능한 진보’라는 평가를 받았다. 문재인 정부에서는 ‘내로남불의 부도덕한 진보’라는 비판이 추가됐다. 시장의 작동 원리를 모른 채 서민을 위한다는 상상에 취해 부동산 정책에서도 실패했다. 관행이라며 도덕적 일탈을 옹호했으며, 권위주의적이고 전체주의적인 행태까지 보였다. 부도덕과 불공정이 쌓이면서 ‘너희가 보수기득권과 다른 점이 무엇이냐’며 대통령 선거에서 정권 교체 민심이 50%를 훌쩍 넘은 상태다.
코로나 극복, 기후위기 대응, 국익 확보, 기업의 양극화 해소, 지방소멸·저출생 위기 극복 등 다음 정부가 해결해야 할 문제가 산처럼 쌓여 있다. 그런데도 여당 민주당은 미래지향적 대안을 제시하지 못했다. 586세대 정치인의 한계라는 비판이 나온다. 송영길 민주당 대표가 “할아버지도 남아 있는데 아버지에게 물러나라고 하면 좀 그렇다”고 지적했는데, 그보다는 민심을 읽어야 한다. 국민의힘에서 0선의 30대 당대표가 선출된 이유는 변화의 주도권, 미래의 결정권을 3040세대로 넘겨 달라는 유권자의 세대교체 요구였다. 용퇴 선언과 행동은 빠를수록 좋다.
2022-01-25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