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년 독립신문에 실린 금계랍 광고.
금계랍은 1820년 개발된 키니네(quinine)를 음차(音借)한 이름이며 키니네는 키나라는 열대 나무의 수액에서 추출한 생약 성분의 말라리아 특효약이다. 위생 상태가 좋지 않았던 구한말에는 말라리아(학질)가 매우 흔했고 10명이 걸리면 4~5명이 사망할 정도로 무서운 열병이었다. 매천야록에는 “이틀에 한 번 앓는 학질을 속칭 당학(唐?)이라고 하는데 우리나라 사람들이 이 병을 매우 두려워했다. 그러나 금계랍이 서양에서 들어온 후 학질을 앓는 사람이 1전어치만 먹으면 즉시 낫지 않는 사람이 없었다. ‘우두법이 나와 아이들이 잘 자라고 금계랍이 나와 노인들이 오래 산다’는 노래까지 있다”고 적혀 있다. 금계랍은 겡기랍·겡게랍(강원), 금계랄(경북)이라는 방언이 있을 정도로 대부분의 가정에서 구비해 두었던 상비약이었다. 약병에는 알파벳으로 ‘kinkeirap’이라고도 씌어 있었다. 쓴맛의 금계랍은 말라리아뿐만 아니라 신경통, 감기에도 썼고 엄마 젖꼭지에 발라 아기 젖을 떼기도 했던 신통한 약이었다. 1899년 12월 4일까지 독립신문 한글판 776호 가운데 543회나 실릴 정도로 금계랍은 수요도 많고 판매도 많았던 것으로 보인다.
광고 문안은 “세계에서 제일 좋은 금계랍을 이 회사에서 또 많이 가져와서 파니 누구든지 금계랍 장사하고 싶은 이는 이 회사에 와서 사면 도매금으로 싸게 주리라”라고 돼 있다. ‘이 회사’는 역시 지난주에 언급된 최초의 광고주 세창양행이다. 세창양행은 구한말 통리아문의 참의(參議)와 협판(協辦)으로 외교와 세관 문제를 맡았던 독일인 묄렌도르프의 도움도 받았다. 묄렌도르프는 임오군란 때 살해당한 민겸호 집(현 서울 종로구청 후문 재보험 자리)에 살았다. 묄렌도르프는 조선 조정에 납품하도록 세창양행에 도움을 주었고 이후 세창양행은 조정에 차관과 대출도 제공하고 당현금광 채굴권을 획득하는 등 사업을 키워 나갔다.
sonsj@seoul.co.kr
2020-01-13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